
기계1500 (3학점): 응용수학Ⅰ (Applied Mathematics Ⅰ)
벡터, 텐서, 벡터장해석, 고유치문제, 선형공간 및 연산, 범함수, 변분법, Fourier급수, Laplace변환 등을 다룬다.
기계1702 (3학점): 응용수치해석 (Applied Numerical Analysis)
유한요소법의 정식화를 위한 에너지 해법 및 근사화이론, 근사해를 얻기 위한 프로그램의 작성 및 수정, 유한차분법의 근사화이론, 고체 및 열유체 문제의 응용을 다룬다.
기계1706 (3학점): 유한요소법 (Finite Element Method)
유한요소 정식화를 위한 변분법, Residual법, 요소의 형상함수, 강성매트릭스유도, 고차요소 및 공학분야에서의 응용을 다룬다.
기계1710 (3학점): 열물질전달 (Heat and Mass Transfer)
열 및 물질전달의 현상, 이동유체, 질량보존법칙, 에너지보존법칙, 층류에서의 전단응력, 비점성유체의 흐름, 운동량 전달에 미치는 난류효과, 열전달원리, 물질전달의 기초, 비정상상태의 분자확산 등을 다룬다.
기계1725 (3학점): 유체역학 (Fluid Mechanics)
Tensor와 Vector의 기본응용법을 익히며, 이를 기본적 물리학 법칙인 질량보전의 법칙, 운동량 법칙, 에너지보존의 법칙에 적용하여 연속방정식, Navier-stokes방정식, 에너지 방정식을 유도하며, 이를 다양한 유동현상에 응용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기계1738 (3학점): 터보기계이론 (Turbomachinery Theory)
터보기계의 구성요소와 성능, 유체기계에서의 운동량과 에너지전달, 터보기계내부의 유체유동과 점성의 영향 및 문제점 등을 다룬다.
기계1746 (3학점): 피로파괴 (Fatigue Failure)
피로의 기본개념, 피로현상, 파면관찰, 피로이론, 피로균열성장, 피로파괴구조 등을 다룬다.
기계1762 (3학점): 자동제어 (Automatic Control)
제어시스템의 구성과 특징, 신호전달 특성, 응답도해석, 안정도해석, 비선형제어시스템 해석 및 설계 방법 등을 다룬다.
기계1763 (3학점): 로보트공학 (Robotics)
로봇기구 및 운동학, 로봇구동 및 제어방법, 로봇모델링, 각종 계측센서 및 산업체에의 응용 등을 다룬다.
기계1764 (3학점): 기계공학에서 인공지능 응용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Mechanical Engineering)
기계분야 및 연구분야에 인공지능 기술을 응용하는 능력을 증진한다.
기계1765 (3학점): 기계재료특론 (Special Topics in Mechanical Materials)
철강 및 비철금속의 결정구조, 결함, 특성, 강도평가와 신소재개발 현황 및 그 특징 등을 다룬다.
기계1785 (3학점): 기계공학특론 (Special Topics in Mechanical Engineering)
필요에 따라 선정된 기계공학분야의 이론과 응용을 다루며 구체적인 강의 내용은 개설전에 정하고 공고한다.
기계1787 (3학점): 생체역학 (Biomechanics)
Tissue 및 Bone mechanics, 점탄성 이론등의 생체역학과, 생체 유체역학이 포괄적으로 다루어지며, 기초적 생리학 및 의학물리내용을 다룬다.
기계1788 (3학점): 지능생산시스템 (Intelligent Manufacturing System)
각종 센서들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를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판단하고 유용한 정보를 얻어내어 제품생산에 적용하는 내용을 학습한다. CCD 카메라를 포함하는 각종 센서와 로봇 팔을 포함하는 Actuator들에 관하여 학습한 후, 전문가 시스템, Neural network, Computer Vision 등의 인공지능에 대하여 학습하여 이들이 어떻게 제품생산에 적용되는지를 알아본다.
기계1790 (3학점): 최적제어 (Optimal Control)
최적화의 기본이론과 LQR, LQG, Pontryagin의 최소이론 등 자동제어 문제에의 적용을 이론과 MATLAB 실습을 통하여 학습한다.
기계 1797 (3학점): 머신비전시스템 (Machine Vision System)
CCD 카메라와 광학 센서(레이저 등)를 이용하여 생산시스템에서의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는 시스템에 관한 이론 및 실무 교육을 한다. 카메라의 수학적 모델과 보정 방법, 삼차원 스캐닝 시스템, 레이저와 카메라를 이용한 생산시스템의 응용을 학습하고, Matlab과 CCD 카메라를 이용한 실무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기계 1798 (3학점): 미세유체역학 (Microfluidics)
매우 작은 구조를 가지는 시스템에서의 유체 및 입자에 대한 연구이며 기존의 일반적인 동역학의 세계에서는 거의 고려되지 않았던 표면장력이나 브라운 운동 등에 의한 변화를 고려하여 유체의 유동을 해석한다.
기계 1800 (3학점): 바이오멤스개론 (Introduction to BioMEMS)
바이오멤스의 최근 연구동향, 미세공정기술, 미세유체역학, 바이오센서기술, 생명공학/ 의료/ 제약 등 BT산업에 적용사례를 다룬다.
기계1802 (3학점): 멤스 및 미세가공개론 (Introduction MEMS and Micromachining)
피로의 기본개념, 피로현상, 파면관찰, 피로이론, 피로균열성장, 피로파괴구조 등을 다룬다.
기계1803 (3학점): 최적화 이론 (Optimiziation Theory)
최적화 이론에 대해 학습하고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기계1808 (3학점): 차세대 자동차 (Advanced Vehicle)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연료전지 전기자동차와 같은 첨단 차량에 대해 학습하고, 이들 간의 다양한 특성에 집중한다.
기계1815 (3학점): 창업과 기업가 정신 (Entrepreneurship and Business Spirit)
4차 산업혁명시대에 기술반전 트렌드에 부합한 창업과 기업가 정신을 이해한다.
기계1816 (3학점): 신뢰성공학 (Reliability)
신뢰성의 정의와 신뢰성을 평가하는 방법에 대해 배우고, 고장 데이터로부터 신뢰성을 직접 계산한다.
기계2001 (3학점): 컴퓨터 그래픽스 (Computer Graphics)
컴퓨터 그래픽스의 이론을 학습하고 OpenGL을 이용한 시뮬레이터를 제작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