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핵심교과목(필수 이수 교과목) : 전자/기계공학입문(3학점), 융합프로젝트(3학점), 융합캡스톤디자인1/2(각 3학점)
- 융합전공의 최소 이수학점 : 36학점 (소속학과 12학점 + 타학과 18학점 + 융합캡스톤디자인1/2 6학점)
- 타 학과 18학점 이수시 전기/전자과의 경우 이수체계도에 있는 기계공학과 개설 교과목 최소 12학점 이상 수강
- 기계공학과 학생의 경우 '스마트기계마이크로프로세서응용'강좌를 수강 후 타 학과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강좌를 수강하는것을 권장
- 전자공학과 학생의 경우 '기계공학입문' 수강시 학과에서 개설한 학과 코드로 수강신청(전기공학과 학생들은 융합 코드로 수강신청)
- 융합전공 교과목 중 소속 학과 개설 교과목명과 유사 교과목은 한 개만 이수(인정)
예 : 신호및시스템(전기), 신호및시스템(전자)
예 : 마이크로프로세서응용(전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응용(전자), 단, 스마트기계마이크로프로세서(기계) 제외(같이 수강 가능)
예 : 자료구조(전기), 자료구조(전자)
'스마트 임베디드 기계시스템 융합전공' 연도별 이수체계도 개편 내용
- 2017년 6월 이수체계도 개편 : 2017학년도 2학기 까지 'FEM'을 수강한 학부생의 경우 융합전공 교과 수강으로 인정
- 2020년 1학기 : '융합프로젝트'개설 학년 변경(3학년 -> 2학년)
- 2020년 6월 이수체계도 개편 : 2020학년도 1학기까지 '시스템 온칩', '반도체장비'를 수강한 학부생의 경우 융합전공 교과 수강으로 인정
- 2022년 7월 이수체계도 개편 : 2021학년도 2학기까지 '현대제어'를 수강한 학부생의 경우 융합전공 교과 수강으로 인정
- 2024년 1월 이수체계도 개편 : 2023학년도 2학기까지 '제어공학', '머신러닝', 'IoT' 를 수강한 학부생의 경우 융합전공 교과 수강으로 인정
- 2025년 3월 이수체계도 개편 : 2024학년도 2학기까지 '전력변환기응용'을 수강한 학부생의 경우 융합전공 교과 수강으로 인정
개편 시기 |
교과목명 |
---|---|
2017년 1학기 |
FEM |
2020년 1학기 |
시스템온칩, 반도체 장비 |
2021년 2학기 |
현대제어 |
2023년 2학기 |
제어공학, IoT |
2024년 2학기 |
전력변환기응용 |